728x90 aws38 AWS EC2 Storage 용량 늘리기(scale-up) 들어가며 k8s를 운영하다보면 어느날 갑자기 resource 에 대한 부족으로 인해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그럴 때 AWS Console에 접속하여 해당 EC2 Instance의 storage 용량을 증가시켜 해결할 수 있습니다. WorkFlow 인스턴스에 접속합니다. (보통은 pem key를 통한 SSH 접속) 아래의 명령어로 해당 노드의 파티션을 확인합니다. $ sudo lsblk NAME MAJ:MIN RM SIZE RO TYPE MOUNTPOINT nvme1n1 259:0 0 30G 0 disk /data nvme0n1 259:1 0 16G 0 disk └─nvme0n1p1 259:2 0 8G 0 part / └─nvme0n1p128 259:3 0 1M 0 part growpart 명령을 사용.. 2023. 4. 29. AWS EFS를 사용하여 POD Storage 구성하기 들어가며 사내에서 POD를 생성할 때에 EFK Stack으로 구성하기전, POD별로 log를 저장해야할 이슈가 있었습니다. (물론 파드는 stateless하게 관리되어야하지만 어떤 이유 때문에 Stateful하게 관리가 되었었습니다 ㅎㅎ,,,) 그래서 Deployment나 Replicaset으로 POD를 띄우는 것이 아닌 Statefule로 POD를 띄우게 되었었는데, 그때 공유 스토리지 볼륨이 필요하였었습니다. 여러 자료를 찾던 중 AWS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인 EBS(Elastic Block Store)와 EFS(Elastic File System) 사이에 고민을 하였었고, 결국 여러 가용영역을 지원하는 EFS를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Volum kubernetes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Storage 즉.. 2023. 4. 25. 이전 1 2 3 4 5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