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kubernetes28 KWOK를 활용한 Kubernetes AutoScaling 테스트 환경 구축 들어가며Kubernetes로 구성된 환경에서 AutoScaling은 필수적인 기능이지만, 이를 간단히 테스트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Minikube 나 Kind 같은 경량화 솔루션들이 등장했지만, 이들 역시 가상 머신이나 Docker와 같은 컨테이너를 사용하므로 리소스 소비가 적지 않습니다.그렇기 때문에 KWOK(Kubernetes WithOut Kubelet) 가 등장하게 되었는데요. KWOK은 Kubelet 없이도 Kubernetes API와 상호작용하는 가상 노드를 구성할 수 있어, 보다 가볍고 빠르게 AutoScaling을 실험할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KWOKKWOK이란?KWOK(Kubernetes WithOut Kubelet)는 Kubernetes의 다양한 기능을 테스트하고 .. 2025. 3. 8. VolumeSnapshot & SnapScheduler로 Kubernetes 볼륨 자동 백업하기 들어가며Kubernetess 환경에서 PVC로 Storage를 만들어 관리한다면 백업(스냅샷)을 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고, 백업을 주기적으로 생성해야 하는 상황이 생길 수도 있는데요. 이를 위해 Kubernetes에서는 VolumeSnapshot을 통해 PVC의 특정 시점 데이터를 백업할 수 있고, SnapScheduler를 사용하면 주기적으로 자동으로 백업할 수도 있습니다. VolumeSnapshotVolumeSnapshot은 Kubernetes에서 PersistentVolumeClaim(PVC)의 특정 시점의 상태를 캡처하는 기능으로, 이를 통해 데이터를 백업하거나 복구할 수 있습니다. VolumeSnapshotClass다양한 스토리지 백엔드에 대한 스냅샷 생성 정책을 정의합니다. apiV.. 2025. 2. 22. Kubestr를 활용한 Kubernetes Storage 성능 테스트 서비스가 고도화되면서 데이터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빠르고 안정적인 스토리지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다양한 스토리지 옵션 중에서 어떤 스토리지가 가장 적합한지, 성능이 제대로 나오는지 판단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특히 Kubernetes 환경에서는 AWS EBS, Ceph, NFS, Local PV 등 여러 스토리지 옵션이 제공되지만 이들이 올바르게 설정되었는지 또는 원하는 성능을 제공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스토리지 개념과 주요 성능 지표, 그리고 Kubestr를 이용한 성능 테스트 방법을 다뤄보겠습니다.StorageStorage란?Storage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모든 장치나 매체를 의미합니다. 특히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보관할 수 있고,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가.. 2025. 2. 19. AWS EKS Cluster Endpoint (Public, Private, Public+Private) EKS Cluster Endpoint EKS에는 2가지의 VPC 영역이 존재합니다.1. Control Plane을 AWS에서 관리하는 AWS VPC2. Data Plane을 사용자가 직접 관리하는 Customer VPC 이에 따라 AWS의 EKS에서는 사용자(고객)가 Control Plane을 관리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애플리케이션만 운영, 관리할 수 있게 Data Plane만 관리하게 하여 Customer VPC에만 집중할 수 있습니다. 이때, EKS 클러스터에 접근하기 위한 Cluster Endpoint에는 이래의 3종류가 존재합니다.Public: 인터넷을 통해 접근 가능Private: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서만 접근 가능Public + Private: 퍼블릭과 프라이빗 환경 모두에서 접근 가능 On.. 2025. 2. 4. [Loki 기반 Logging Monitoring System 구축] Chunks 생성과 Flush 동작 구조 기존에 구성되어있던 시스템의 불편함기존에는 사용하고 있던 Logging System은 Elastic Stack을 통해 구성되어있었습니다. 각 node에 daemonset으로 배포되어 있는 filebeat를 통해 STDOUT으로 출력되는 로그를 수집하고, 버퍼 역할을 하는 Kafka에게 로그를 전달하며 ElasticSearch를 통해 집계하여 Kibana로 대시보드를 구성하여 로그를 확인하는 시스템이었습니다. 하지만 elasticsearch에는 큰 단점으로 느꼈던 점은 사전에 index를 꼭 설정해줘야 한다는 점과, timestamp로 매핑되지 않는다는 것이었습니다. 특히, 개발팀에서 수집이 되어야 하는 로그가 다양하고, key를 추가할수도, 삭제할 수도 있는데 이를 애플리케이션마다 index를 다르게 .. 2025. 1. 28. [KANS] Gateway API 더보기이 스터디는 CloudNet@에서 진행하는 KANS 스터디를 참여하면서 공부하는 내용을 기록하는 블로그 포스팅입니다.CloudNet@에서 제공해주는 자료들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Gateway API Gateway API는 Kubernetes의 네트워크 라우팅을 확장(L4 및 L7 라우팅)하고 개선하기 위해 설계된 API입니다. 기존의 Ingress API를 대체하거나 보완할 수 있는 방식으로, 더 복잡한 네트워크 트래픽 관리 시나리오를 지원합니다. 즉, 기존의 Ingress에 다양한 기능(헤더 기반 라우팅, 헤더 변조, 트래픽 미러링(쉽게 트래픽 복제), 역할 분리 등)이 추가된 차세대 Kubernetes Ingress, LoadBalancing, service mesh API를 대표 하는.. 2024. 10. 12. [KANS] Ingress 더보기이 스터디는 CloudNet@에서 진행하는 KANS 스터디를 참여하면서 공부하는 내용을 기록하는 블로그 포스팅입니다.CloudNet@에서 제공해주는 자료들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Ingress Ingress란?Ingress는 Kubernetes에서 외부 트래픽을 클러스터 내의 서비스로 라우팅하는 역할을 하는 리소스입니다. Service는 Layer4 계층에서 동작하지만 Ingress는 Layer 7계층에서 동작하기에 HTTP/HTTPS 통신에 다양한 기능들이 제공합니다. 즉, 클러스터 내부의 서비스(ClusterIP, NodePort, Loadbalancer)를 외부로 노출(HTTP/HTTPS)합니다. (Web Proxy 역할)Ingress ControllerIngress의 실제 동작 구현은 .. 2024. 10. 9. [KANS] Service - LoadBalancer (MetalLB) 더보기이 스터디는 CloudNet@에서 진행하는 KANS 스터디를 참여하면서 공부하는 내용을 기록하는 블로그 포스팅입니다.CloudNet@에서 제공해주는 자료들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Service Service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은 앞 내용에서 다뤘으니 참고바랍니다.LoadBalancerLoadBalancer(줄여서 LB)는 Public Cloud 환경에서 동작하는 LB Service와 On-premise 환경에서의 LB Service가 있습니다. 동일한 LB이지만 동작 방식에 차이가 있습니다. Public Cloud 사업자마다 LB의 동작에도 차이가 있으며, On-Premise 환경에서 동작하는 LB도 하드웨어 장비와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구분되고, LB 개발사에 따라 차이도 있습니다. Cloud .. 2024. 10. 4. [KANS] Service - ClusterIP, NodePort 더보기이 스터디는 CloudNet@에서 진행하는 KANS 스터디를 참여하면서 공부하는 내용을 기록하는 블로그 포스팅입니다.CloudNet@에서 제공해주는 자료들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Kubernetes Serivce service란?Service란 Pod 집합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을 네트워크 서비스로 노출하는 추상화 방법입니다.서비스는 Pod에 대하여 고정 IP와 Domain Name을 제공하는데, Pod1 애플리케이션은 서비스의 10.200.1.1 IP로 통신 시에 서비스는 Pod2의 172.16.1.2로 트래픽을 전달하게 됩니다. 만약, Pod2가 restart하게 되면 서비스는 변경된 Pod2의 IP를 자동으로 알게 되어, Pod1의 통신 요청을 변경된 Pod2의 IP인 172.16.1.3으.. 2024. 9. 28. 이전 1 2 3 4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