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분류 전체보기103 Kubernetes DNS: FQDN과 ndots의 동작 방식 정리 Kubernetes에서 ndots와 search 설정은 DNS 동작 방식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적절한 ndots 값을 설정하지 않으면 불필요한 DNS 요청이 증가하거나, 외부 도메인 접근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FQDNFQDN이란?FQDN은 Fully Qualified Domain Name의 약자로, 특정 호스트를 인터넷이나 네트워크에서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전체적인 도메인 이름을 의미합니다. 특히, 호스트 이름과 도메인 이름이 결합된 형태로 네트워크 내에서 충돌 없이 특정 호스트를 고유하게 식별 가능한 절대 경로를 나타내는데, 주로 DNS 시스템에서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할 때 사용됩니다.Kubernetes에서 FQDN...cluster.local Kubernetes에서 FQDN.. 2025. 2. 14. AWS ECR과 EKS 연동을 통한 컨테이너 이미지 배포하기 OverviewAWS ECRECR(Elastic Container Registry)이란?AWS ECR(Amazon Elastic Container Registry)은 AWS에서 제공하는 완전 관리형 컨테이너 레지스트리 서비스로, Docker 및 OCI(Open Container Initiative) 기준에 맞춘 컨테이너 이미지와 artifact들을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저장하며 관리할 수 있습니다. 주요 개념RegistryPublic Registrypublic.ecr.aws//:위와 같은 URL 형식을 가지며, 생성된 public 레지스트리는 Amazon ECR Public 갤러리에 공개되며, 공개적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Private Registryhttps://aws_account_id.dkr.e.. 2025. 2. 9. AWS EKS Cluster Endpoint (Public, Private, Public+Private) EKS Cluster Endpoint EKS에는 2가지의 VPC 영역이 존재합니다.1. Control Plane을 AWS에서 관리하는 AWS VPC2. Data Plane을 사용자가 직접 관리하는 Customer VPC 이에 따라 AWS의 EKS에서는 사용자(고객)가 Control Plane을 관리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애플리케이션만 운영, 관리할 수 있게 Data Plane만 관리하게 하여 Customer VPC에만 집중할 수 있습니다. 이때, EKS 클러스터에 접근하기 위한 Cluster Endpoint에는 이래의 3종류가 존재합니다.Public: 인터넷을 통해 접근 가능Private: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서만 접근 가능Public + Private: 퍼블릭과 프라이빗 환경 모두에서 접근 가능 On.. 2025. 2. 4. Ghostty에서 k9s가 요상한 색상으로 보인다면? 들어가며 저는 실무에서도 k9s를 애용하고 있는 사람으로써 당연히 ghostty에서도 k9s를 사용하려고 했는데요. iterm2에서는 정상적인 color로 보이지만, ghostty를 사용하면 위의 사진과 같이 color가 요상하게 보이는 이슈가 발생했습니다. 실제로 논의 중인 이슈잖아?!? https://github.com/derailed/k9s/issues/3049 Wrong colors in ghostty · Issue #3049 · derailed/k9sDescribe the bug Wrong colors in ghostty. I set the background color to #ff0000 and took a screenshot in ghostty and wezterm. Wezterm uses.. 2025. 2. 3. Ghostty로 터미널 커스터마이징 해보기 (한글 폰트 적용) 들어가며안녕하세요! 설날에 심심해서 이것저것 알아보던 중 요즘 핫한 terminal인 Ghostty를 적용해 보았는데요. 아직 기초 수준 밖에 다루지 못하지만, 제가 적용해 본 내용들에 대해 포스팅해 보았습니다! (계속 사용해보면서 설정하는 내용들을 이어서 추가해보려고 합니다 😊 ) 💻 이 글은 mac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Ghosttyhttps://ghostty.org/ GhosttyGhostty is a fast, feature-rich, and cross-platform terminal emulator that uses platform-native UI and GPU acceleration.ghostty.org 사실 Ghostty를 처음 접한 건 Geeknews에서 Ghostty에 대한 .. 2025. 1. 30. [Loki 기반 Logging Monitoring System 구축] Chunks 생성과 Flush 동작 구조 기존에 구성되어있던 시스템의 불편함기존에는 사용하고 있던 Logging System은 Elastic Stack을 통해 구성되어있었습니다. 각 node에 daemonset으로 배포되어 있는 filebeat를 통해 STDOUT으로 출력되는 로그를 수집하고, 버퍼 역할을 하는 Kafka에게 로그를 전달하며 ElasticSearch를 통해 집계하여 Kibana로 대시보드를 구성하여 로그를 확인하는 시스템이었습니다. 하지만 elasticsearch에는 큰 단점으로 느꼈던 점은 사전에 index를 꼭 설정해줘야 한다는 점과, timestamp로 매핑되지 않는다는 것이었습니다. 특히, 개발팀에서 수집이 되어야 하는 로그가 다양하고, key를 추가할수도, 삭제할 수도 있는데 이를 애플리케이션마다 index를 다르게 .. 2025. 1. 28. 2024년 회고 저에게 2024년은 대외적으로 많은 활동을 통해 좋은 결실을 맺은 한 해 였습니다. 개인적으로 매년 회고를 따로 진행하기에, 이 블로그에서는 개인적인 이야기는 잠시 접어두고 회고를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한 해동안 무엇을 했는지 달별로 정리해보는 것이 좋을 것 같아 달별로 에픽을 잡아 정리해보았습니다! [1월/ 2월] - CKA, CKAD 취득이직을 준비하면서 쿠버네티스에 대한 지식을 검증 받고, 더 공부해보자는 생각에 CKA, CKAD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불합격을 정말 많이했지만 결국 취득하였습니다 ! https://www.credly.com/badges/26892ea2-d25d-47f7-945c-74c9e5308db1/public_url CKA: Certified Kubernetes Administ.. 2024. 12. 31. 자고 일어나니 Argo Project Member? 내가 Argoproj Member?오픈소스 컨트리뷰션을 진행하면서 한 가지 목표했던 게 있었습니다. 바로 "유종의 미"를 거두자는것인데, 그것이 저에겐 Argoproj의 Member가 되는 것이었습니다. 지난번 작성한 첫 번째 기여에 관한 글에 이어서 docs나 feature 등 더 많은 기여를 하였고, ArgoCD 뿐 아니라 workflow, helm 등 다양한 Argoproj에 기여하였습니다. 제가 이 글을 쓰는 이유는 저처럼 오픈소스 기여가 어렵고, 막연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이 글을 보고 용기 및 노하우를 얻으셔서 더 많은 사람들이 오픈소스에 기여했으면 하는 바람으로 작성했습니다. member가 되는 법은 뭘까?오픈소스 프로젝트에 따라 다르지만, Argoproj는 Member가 되기 위한 조건.. 2024. 11. 22. [KANS] AWS EKS 더보기이 스터디는 CloudNet@에서 진행하는 KANS 스터디를 참여하면서 공부하는 내용을 기록하는 블로그 포스팅입니다.CloudNet@에서 제공해주는 자료들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이번 내용은 지난번에 참여한 스터디와 중첩되는 내용이 많아서 겹치는 내용은 링크로 대체 합니다.AWS VPC CNIhttps://lakescript.net/entry/AEWS-2-1-Amazon-EKS-Networking-CNI [AEWS] 2-1. Amazon EKS Networking - CNI사전 준비 더보기 위와 같이 사전 준비가 필요합니다. 저번 글에서 설명했듯이, EKS를 배포하기 위한 VPC를 생성하고, Public Subnet, Private Subnet을 생성합니다. 그 후 EKS Cluster에 접근하.. 2024. 11. 2. 이전 1 2 3 4 5 ··· 12 다음 728x90